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4 >>
 123456
78910111213
14151617181920
21222324252627
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그것이 알고싶다] - 중산복의 유래?...
2017년 05월 23일 02시 26분  조회:3592  추천:0  작성자: 죽림
중산복의 유래와 함의     


 

 

 

중산복(中山裝)은 1923년 세상에 나온 이래, 줄곧 중국 남성들이 가장 즐기는 복장이다. 중산복의 창시자는 바로 중국 민주혁명가 손중산(孫中山-쑨원) 선생이다. 

손중산 선생은 1923년 광저우에서 중국혁명정부의 대원수직을 맡았다. 양복은 복잡하고 입기가 불편해 중국인들의 일상생활에 적합하지 않았다. 하지만 중국 전통의상은 중국인들의 향상되는 시대정신을 표현하지 못했고 일상생활에서도 양복과 비슷한 결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남양(南洋) 화교들 사이에 유행되던 상의에 양복 와이셔츠식의 빳빳한 옷깃을 달았다. 이리하여 양복 상의와 와이셔츠의 작용을 겸비하게 됐다. 또 남양화교 복장의 3개 호주머니를 4개로 바꿔 실용성을 더했다. 아래 쪽 두 개의 호주머니는 넣는 물건의 부피에 따라 부풀 수 있도록 주름을 넣었다. 

손중산 선생이 호주머니를 이렇게 개량한 이유는 책이나 노트 및 업무 필수품을 넣기 위해서였다. 호주머니에는 또 덮개를 달아 물건이 쉽게 분실되지 않도록 했다. 양복 바지는 앞에 구멍을 내고 단추를 사용했으며, 좌우에는 각각 호주머니를 달았다. 뒤쪽 좌우 둔부에도 호주머니를 각각 하나씩 만들고 덮개를 달았다. 이렇게 만든 바지는 편리하고 많은 물건을 지닐 수 있게 됐다. 

손중산 선생을 도와 중산복을 만든 조수는 베트남 하노이에서 양복점을 경영하던 광둥성 타이산(臺山) 사람인 황룽성(黃隆生)이다. 1902년 12월, 손중산 선생이 하노이에서 흥중회를 조직하던 중 우연히 황룽성의 양복점에 들어가게 됐다. 황룽성은 손중산 선생에게 매료돼 흥중회에 가입하고 혁명을 위해 힘쓰겠다고 했다. 1923년 황룽성은 손중산 선생을 따라 대원수부에서 근무하게 된다. 손중산 선생이 중산복을 설계할 때 황룽성은 기획과 재봉을 책임져 첫 번째 중산복을 만들어 냈다. 

손중산 선생은 처음으로 몸소 설계한 중산복을 입어보고 “이 복장은 보기도 좋고 실용적이며 편리하고 저렴하다. 양복처럼 상의와 바지 외에 외투를 따로 만들 필요가 없다. 또 양복은 수입품이므로 너무 비싸다”고 말했다. 손중산 선생의 제의는 많은 백성들의 환영을 받았다. 

중산복의 특징 

중산복은 간단하고 실용적으로 신해혁명 시기부터 유행됐다. 1912년 민국정부는 중산복을 예복으로 명명했고 중산복을 개량해 새로운 함의를 부여했다. 옷깃을 세우고 앞자락에 5개의 단추, 4개의 호주머니, 소맷부리에 3개의 단추를 달고 뒤에는 구멍을 내지 않았다. 여기에는 ‘주역’에 실린 주나라 시대의 예절 등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데 각각 다음과 같다. 

1. 앞면의 4개 호주머니는 각각 예, 의, 염, 치(禮, 義, 廉, 恥)를 의미하며 호주머니 덮개는 ‘문(文)으로 나라를 다스림’을 상징한다. 

2. 앞자락의 5개 단추는 서양의 3권 분립과 구별되는 5권 분립(행정, 입법, 사법, 시험, 감찰)을 상징한다.

3. 소맷부리의 단추 3개는 삼민주의(민족, 민권, 민생)를 상징한다. 

4. 뒤에 구멍을 내지 않음은 국가의 평화통일을 상징한다. 

5. 봉폐식으로 접은 옷깃을 사용함은 ‘엄숙하게 나라를 다스림’을 상징한다.
 
 


중국의 공식 예복,"중산복(中山服)"의 유래는?
오권분립과 삼민주의를 의미
 
중국은 "중산복(中山服),일명 마오룩(Mao look)"을 일찍부터 "국가의 공식 예복"으로 지정했다. 중산복의 창제는 근대의 중국 복식 역사상 하나의 대변혁이다. 

'중국 동맹회(同盟會) 성립 100주년 기념 국제학술세미나'에서 상하이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리젠(李堅) 부교수는 '중산복은 닝보지이(寧波籍) 홍방이 재봉한 옷이고 최초의 정식 중산복은 홍방의 회원인 왕차이윈(王才運)이 쑨중산(孫中山)의 요구에 따라 1916년에 만들어졌다'는 새로운 설법을 제기했다. 

리젠의 소개에 따르면, 중산복의 최초 형식은 19세기말 20세기 초에 나타났는데 당시 일본 복장계의 화교계 장팡청(張方誠) 등이 설계한 한벌의 중산복은 곧게 열린 깃의 앞가슴에 7개의 단추가 있다. 이후 양복이 중국으로 반입 함에 따라 사람들은 전문 양복을 재봉하는 재봉사를 "홍방재봉"이라 불렀는데 왕재운이 바로 당시 재봉계의 중요 인물이었다. 

1916년, 왕차이윈 등은 손중산의 뜻에 따라 원래 기초상 다시 개선하여 재봉한 중산복은 웃옷에 5개의 단추로 이루어졌는데 이는 입법(立法)·사법(司法)·행정(行政)·감찰(監察)·고시(考試)의 오권분립을 의미하고 옷소매에는3개의 단추가 있는데 이는 민생(民生)·민주(民主)·민족(民族)의 삼민주의(三民主義)를 나타낸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11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노벨평화상" 경매 기부, 남의 일이 아니다. 2023-04-21 0 2533
311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영화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2-05-29 0 2119
3111 [그것이 알고싶다] - "청와대로 가보쟈..." 2022-05-14 0 1664
3110 [세상만사] - "문제...문제" 2022-05-14 0 1151
3109 [해외문단소식] - "죽음의 굿판을 걷어치워라..." 2022-05-09 0 1590
3108 [해외문단소식] - "그리움도 화석이 된다..." 2022-05-09 0 1364
310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피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2-05-02 0 1522
310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이야기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2-05-02 0 1379
310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그림책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2-05-02 0 1228
310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록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2-04-08 0 1679
310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무라토프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2-04-08 0 1392
3102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언어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2-04-08 0 1279
310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노래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2-03-24 0 1445
3100 [그것이 알고싶다] - "노벨 평화상" 2022-03-24 0 1462
309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평화상" + "인도주의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2-03-24 0 1334
3098 [세상만사] - "고래 똥 = 로또"... 2021-10-12 0 1998
3097 [별의별] - "둥글다"와 "평평하다"... 2021-09-13 0 1968
3096 [세상만사] - "표면이 벗겨진 금메달" 박물관으로... 2021-09-02 0 1444
3095 자유 자유 그리고 자유... 2021-08-07 0 1483
309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생태복구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7-14 0 1565
3093 [별의별] - 소똥과 신성화... 2021-06-25 0 1762
3092 [세상만사] - 윤여순 / 윤여정 + (딸) = 원동력 어머니... 2021-06-04 0 1773
3091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코끼리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6-04 0 1831
3090 [문단소식] - 송화강반에 피여나는 문학의 향연... 2021-05-23 0 1519
3089 김승종 譚詩 "추억 다섯개비"를 고향 향해 올리나니... 2021-05-23 0 1772
308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대기오염문제",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5-22 0 1991
3087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평화의 녀신",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5-16 0 1963
3086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미인평화",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5-16 0 1991
308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평화와 미인"... 2021-05-16 0 2128
308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평화와 시인의 죽음"... 2021-05-16 0 2118
308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쥐 떼와의 전쟁",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5-15 0 2168
3082 [세상만사] - 심봤다... 억... 2021-05-10 0 1944
3081 [세상만사] - 천종산삼... 억... 2021-05-10 2 1574
3080 [세상만사] - 100년 산삼 한뿌리... 억... 2021-05-10 0 1853
3079 [그것이 알고싶다] - "민성보" 2021-05-10 2 2104
3078 [별의별] - 코끼리와 새둥지 새끼새 2021-05-10 0 2137
3077 [그것이 알고싶다] - 중국 영화 황제 김염과 제주도 2021-05-08 0 2111
3076 [별의별] - 국경과 농부 2021-05-07 0 2051
3075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고구마혁명",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4-28 0 1953
307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문화유산모으기", 남의 일이 아니다. 2021-04-28 0 2092
‹처음  이전 1 2 3 4 5 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